본문 바로가기

스파르타내일배움캠프

12/13, 열다섯 번째 날의 TIL(앙상블학습, Redis) 벌써 세 번째 주의 마지막 날이다. 매일 12시간씩 공부를 해도 시간이 너무 빨리 가는 것 같다. 개인 공부 외에 스터디도 따로 두개 하고 있고, 수준별 학습반에서 하는 화요일 프로젝트반/ 목요일 스터디 및 연구 반에 모두 참여 할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 매우 바빠질 예정이다. 하지만 이 캠프를 하러 온 것이 놀러 온 것이 아니라 취업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들어왔기 때문에 그걸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1. 배깅과 부스팅, 그리고 랜덤 포레스트대학교에서 앙상블학습에 대한 내용을 배울 때, 배깅과 부스팅이 무엇인지, 어떤 원리인지. 랜덤 포레스트도 마찬가지로 무엇이고 어떤 원리인지 배운 다음 각각 실습을 하고 넘어가는 정도로 공부를 했다. 그래서 깊게는 아니고 내용을 알고만 있는 정도였는데, 이번에 모.. 더보기
12/11, 열세 번째 날의 TIL(터미널, 파이토치 설치, gpt 독스) 오늘은 딥러닝 실습을 위해서 실습용으로 대여한 맥북에 파이토치를 설치해보고, 스터디에서 gpt 독스를 읽어보았는데 어제와 이어진 내용이 있어서 더 이해하기가 쉬웠던 것 같다. 딥러닝 내용은 정리해서 내일 TIL에 적어야겠다.1. Pytorch 설치파이토치 설치를 하는게 너무 힘들었다. 여기저기서 계속 에러가 나고, 원래 쓰던 파이썬 버전이 3.13이라 가상환경 만드는데 충돌이 나고, 계속 안됐지만 결국에는 해결을 해서 매우 뿌듯했다.먼저, 주의해야 할 점은 Pytorch가 지원하는 버전이 따로 있다는 것인데, PyTorch 2.x (최신 버전):Python 3.8, 3.9, 3.10, 3.11 버전에서 지원됩니다.PyTorch 1.x (구버전):Python 3.6, 3.7, 3.8, 3.9 버전에서 주로.. 더보기
12월 10일, 열두 번째 날의 TIL(머신러닝) 오늘은 어제에 이어서 남은 머신러닝 비지도학습, 앙상블학습 모델에 대한 실습을 진행해보았다. 각 모델들을 공부하면서 생각했던건데, 여러개의 모델을 섞어서 사용하는건 예전에 머신러닝을 처음 접하고 앙상블을 몰랐을 때의 나도 생각할 수 있었다. 하지만 어떻게 사용할지 방식은 생각해본 적이 없는데, 이렇게 다수결로 하거나 여러 개를 거쳐서 나오는 등의 방법은 생각하지 못했다. 나만의 머신러닝 모델을 만들어보고 싶은데, 이런식으로 창의적인 방식을 통해 성능을 좋게 하는 방법을 생각해봐야겠다. 이와 같이 참신하다고 느꼈던 모델은 GAN이 있는 것 같다. 두 모델이 서로 경쟁하면서 성장하는 모델이라니. 세상에는 참 기발한 생각을 하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 오늘 공부를 하면서 의문을 가졌던 점이나 더 알게 된 부분.. 더보기
12/2 ~ 12/6, 둘째 주의 WIL 이번 주는 스파르타 내일배움캠프의 두 번째 조였고, 과제 제출 및 팀 변경으로 정신없는 한 주였다. 전 팀원들과 헤어지게 되어 아쉬웠지만, 새로운 환경에서 적응하는 것도 필요한 능력이기에 빠르게 적응을 하고자 하였고 처음보다 점차 분위기를 풀고 있는 중이다. 이번 주도, 특강과 공부와 튜터링으로 많은 것을 배운 한 주였다. 이번주의 가장 인상 깊었던 배움은 git에 대한 내용이였는데, 지금까지는 파일을 항상 내 컴퓨터의 폴더에만 저장을 하고 버전관리도 모르고 그냥 수정하면 수정하는대로, 그렇게 어질러져 있었지만 git을 쓰고 나서는 수정한 내용을 알 수도 있고, 버전 관리를 할 수 있다는 점이 매우 좋았던 것 같다. 처음에는 막막했지만 찾아보고 특강을 들으며 CLI로 코드를 github에 올릴 수 있게 .. 더보기
12/6, 열 번째 날의 TIL 오늘은 두 번째 주의 마지막 날이었고, 오전에 git 특강을 듣고 오후에는 머신러닝 실습 위주로 진행해보았다. 먼저 터미널 명령어를 배우고 깃 명령어 조금을 배웠는데 깃은 거의 안해서 다음에 같이 정리를 해야 할 것 같다. 오늘 머신러닝 하면서 좀 막히는 부분, 에러가 많이 났던 것 같다. 다행히 다 해결은 되었다.1. 터미널의 명령어ls하위 폴더 확인cd 폴더이름해당 폴더로 이동ls -al현재 위치 숨김 파일 포함하여 보기cd ..상위 폴더로 이동rm삭제mkdir 폴더이름폴더 생성rm -r폴더 삭제touch파일생성터미널의 명령어들은 위와 같은데, 이 명령어들을 사용하면 마우스  없이 폴더를 옮겨다니며 삭제, 생성 등 관리가 가능하다.2. 머신러닝 실습오늘은 선형회귀에 대한 실습을 진행해보았다. 그냥 실.. 더보기
12/5, 아홉 번째 날의 TIL 오늘은 쉬는시간이 거의 없이 내내 강의를 엄청 집중해서 들었던 것 같다. 조가 바뀌면서 처음에 분위기가 어수선했지만, 조별 노션을 작성하면서 얘기를 좀 나누게 되었고 앞으로도 얘기를 천천히 나누면 좋은 분위기가 될 것 같다. 오늘은 파이썬 과제 해설강의가 있었는데, 이 부분에서 놓쳤던 부분들이1. if 문에서 ==을 사용할 경우에는 else 말고 if문에 넣도록 하자.num = int(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 "))if num == 1: print('one')elif num > 1: print('big')else: print('small') 이런 경우에는, 1을 입력했을 때 정확히 그 조건일 경우에만 프린트를 입력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num = int(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 "))i.. 더보기
12/4, 여덟 번째 날의 TIL 오늘은 과제 제출일이면서 동시에 파이썬, 라이브러리 강의 마지막 날이었다. 첫날부터 오늘까지, 많은 내용을 배웠고 많은 시간 집중해서 공부를 했던 것 같다. 오늘도 예제를 풀어보면서 많은 내용을 배웠는데,1. zfill에 대해서zfill이라는 것은, 문자열에서 숫자 자리수를 맞추기 위해 공백에 0을 채워 넣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계좌번호를 만들 때 각 자리수가 정해져있고, 랜덤으로 만들어진다고 할 때 00-000000-0000 이런식으로 12자리가 나와야 한다고 하자.각 자리를 난수로 만들고 싶은데 1-4351-333 이렇게 작은 수가 나와서 자릿수가 비는 경우에, 0을 채워서01-004351-0333 이렇게 계좌번호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사용하는 방법은 간단한데, example = '1357'#zfi.. 더보기
12/3, 일곱 번째 날의 TIL 오늘은 계획했던 대로 강의를 모두 다 끝냈다. 그리고 본 캠프의 과제도 1, 2, 3번 추가와 도전 과제까지 모두 마무리했다.오랜만에 보는 내용도 있었고, 많이 다뤄보긴 했지만 몰랐던 내용도 꽤 있었다. 처음 파이썬 부분에서는 클래스가 조금 어려웠지만라이브러리 부분에서는 판다스의 많은 기능이 조금 헷갈렸던 것 같다.그래도 강의 듣고 실습을 해보면서 조금 익숙해져서 다행이다.sample지금까지 데이터프레임을 확인할 때면 그냥 전체를 출력하거나 .head, .tail만 사용했지만, 무작위로 확인하려고 할 때는 sample을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df.sample(n)을 입력하면, n개의 샘플을 추출해서 보여준다. iloc와 loc의 차이점예전에는 그냥 loc만 사용하고 iloc이랑 차이가 뭔지 정확.. 더보기